다문화 가정(多文化家庭)은 서로 다른 국적 또는 문화의 사람이 만나 구성된 가정을 말하며
한국 국내에선 상이한 문화를 지닌 자국민 집단이 없으므로 보통은 국제결혼으로 나타납니다.
한국전쟁 전후에는 혼혈로 불렸으며, 주한미군과 한국인 여성 사이에 태어난 이들이 많았지만 이 시절엔 국가적인 정책 차원에서 이들을 관리하지 않아 이들의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도 제대로 된 통계가 없습니다.
그러던 것이 한국 사회가 발전하고 1990년대에 방송 등을 거쳐 이미지가 좋아지고 성비 불균형이나 농촌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1세기 들어서 본격적으로 국제결혼이 나타났고, 그 때문에 다문화 가정 자녀의 대다수는 미취학 아동 2010년대생으로 추산됩니다. 이처럼 점차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 어린이에 대한 관심도 촉구되고 있으며, 특히나 한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린이는 어른보다도 주변의 환경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해야하고 이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을 지원하고자 성동구에서 마련한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이 바로 작은 책마루 이음입니다.
1. 다양한 나라를 '잇는' 성동 작은 책마루 공간이란?
5개국의 다문화 가족으로 구성된 도서관 운영위원회 의견을 모아, 다문화 어린이들이 즐겁게 책을 읽고 이중언어를 학습할수 있는 공간으로 지연주민과 다문화 가족이 책을통해 자연스럽게 이어질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 공간이 성동 작은 책마루 공간입니다.
2. 시설 현황
개관 | 소재지 | 규모 | 도서 | 운영 |
2019.6.21 | 왕십리로 24나길 10, 202호 |
61.35m2 | 2,500권 | 성동구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3. 이음 이용법
이용대상: 지역지문 누구나
이용시간: 월~금 10~17시 *법정공휴일은 휴관
주말 운영시간은 매월 성동구 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
홈페이지 주소: http://sdfc.familynet.or.kr
다누리 홈페이지: http://www.liveinkorea.kr/portal/KOR/main/main.do
도서이용: 작은 책마루 어디서나 열람가능 *단 대출은 불가
독서 문화 프로그램: 북 콘서트, 다양성 인형극, 책 만들기, 독서지도 등
행사 안내 및 신청방법: 성동구 건강가정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및 작은 책마루에 게시합니다
4. 이용문의
성동구 건강가정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서울특별시 성동구 무학로 6길 9 / 02-3395-9445 )
책마루 이음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4나길 10, 202호 / 02-2281-1737)
'서울시에서 "편안하게"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단녀 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일의 내 일(My Job)찾기! (0) | 2023.08.11 |
---|---|
"성동 교육 복지센터"를 통한 교육 소외 해소! (0) | 2023.08.11 |
성동 창작 공간 "메이커 스페이스 x 미디어 센터" 활용! (0) | 2023.08.08 |
성동구 돌봄 SOS 사업 (0) | 2023.07.25 |
성동구 물놀이장 4곳 정보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