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자유롭게" 살기26 경매 초간단 권리 분석, 5개 단어만 찾아라 법원에서의 경매 절차를 스텝 바이 스텝으로 진행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정확한 권리분석을 통해 현장조사를 효과적으로 하는것이 어찌보면 더 중요한 절차라고 볼 수 있다. 권리분석이라고 하니 거창해 보이지만 핵심은 말소기준권리를 찾는것이다. 등기사항 전부증명서에서 (근)저당, (가)압류, 담보가등기, 경매개시결정 등기, 배당요구 한 전세권 - 이 5개의 단어를 찾는것이 키 포인트이다. 다음은 5개의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1. 경매 권리분석 시 근저당권 확인 은행은 돈을 빌려주면서 대개 근저당권을 설정한다. 채무자가 이자나 원금을 갚지 않을 때 경매로 부동산을 팔아 빌려준 돈을 회수할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시중은행은 120%로 채권최고액을 설정한다. 예를들어 1억을 빌려주면 .. 2023. 8. 14. 간단명료 경매 프로세스 10단계 재테크의 기본은 좋은 물건을 싸게사는 것, 재테크는 수많은 기회비용과의 싸움이다. 부동산 재테크를 잘하기 위해서는 싸게사는 방법 중 가장 강력한 "경매"라는 도구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평생에 거쳐 써먹을수 있다. 물론 경매가 능사는 아니지만 그 도구를 가진 사람과 아닌사람의 부동산 재테크의 질은 달라질것 이다. 이제 간단명료한 10단계로 알아보는 경매 프로세스에 대해 이야기 하겠다. 1. 경매개시 매각기일 오전 10시부터 집행과니 경매기시를 알리고 입찰절차에 관한 설명과 주의사항을 낭독하면 시작된다. 2. 입찰 시작 (경매사건기록부 열람) 집행관이 경매개시와 함께 입찰해도 좋다는 선언을 하게되면, 입찰이 그때부터 가능하다. 이 시간부터 입찰 마감 시간까지 모든 입찰자는 입찰부동산의 경매사건기록부 열람이 가.. 2023. 8. 14. 이전 1 ··· 4 5 6 7 다음